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서울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공개, 내 집 앞 도로도 포함됐을까?

by 소문쟁이 2025. 4. 11.
반응형
SMALL

싱크홀 위험지역

 

안녕하세요, 지난 3월 24일 강동구 대명초사거리에서 일어난 ‘싱크홀 사고’ 기억하시나요? 평범한 출근길이었습니다. 그런데 오토바이를 타고 지나던 30대 남성이, 순식간에 열린 땅속으로 사라졌고... 며칠 뒤, 그는 지하철 9호선 공사 터널 안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습니다. 서울시가 사고 원인을 ‘지하철 터널 공사’라고 국토부에 보고했단 사실은 더 큰 충격이었죠. 이젠, 어디가 안전한지 장담할 수 없는 시대가 된 걸까요? 서울시가 발표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그 리스트가 공개됐습니다. 리스트 보면서 이렇게 가까운 곳도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이 정말 충격이었어요. 위험지역 50곳을 기반으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정리해보려고 해요. 혹시 모르잖아요, 내 출퇴근길, 내 아이가 다니는 학교 앞이 리스트에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싱크홀(지반침하)이란 무엇인가요?

싱크홀은 지하 공간의 붕괴나 토사의 유실로 인해 지표면이 갑작스럽게 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낡은 하수관, 지하 공사, 지반 침식 등이 원인인데요. 겉보기엔 멀쩡한 도로가 순식간에 무너져버리기 때문에 시민들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됩니다. 특히 도심 지역에서 발생하면 차량 사고나 보행자 추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더더욱 주의가 필요하죠.

 

서울시 발표 싱크홀 고위험지역 50곳 선정

서울시는 사전조사를 통해 지반침하 위험도가 높은 50곳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도심 및 교통량이 많은 구간 위주로 집중됐으며, 특히 광진구, 종로구, 금천구에 분포가 많았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서울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선정대상 50곳.pdf
0.06MB

강남구

연번 구간(주소)
1 언주로(압구정동 477 ~ 개포동 1282-5)
2 선릉로(구룡마을입구교차로 ~ 압구정동 507)

 

구로구

연번 구간(주소)
3 고척동 76-368
4 구로동 712-8
5 고척동 76-74 ~ 고척동 77-5

 

광진구

연번 구간(주소)
6 자양1·2동 일대 등
7 구의1동 일대(구의동 640-6 등)
8 구의2동 일대(구의동 75-1 등)
9 능동 군자동 일대(군자동 49-1 등)
10 화양동 일대(화양동 37-82 등)
11 광장동 188-2번지 일원
12 자양4동 43~44번지 전통시장 공영주차장
13 자양4동 72-1 일원
14 구의1동 252~95번지 일원
15 구의1동 246-10번지 일원
16 자양4동 57-153번지 일원
17 자양4동 8-8번지 일원
18 자양2동 680-63번지 일원
19 구의2동 63-7 외 2필지 일원
20 화양동 111-117번지 일원
21 화양동 18-12번지 일원
22 중곡4동 93-13 외 6필지 일원
23 중곡1동 647-16 외 1필지 일원
24 구의3동 587-6 외 5필지 일원
25 중곡3동 695 외 2필지 일원
26 강변역 2번출구와 테크노 마트 사이
27 자양동 621번지 일원

 

금천구

연번 구간(주소)
28 가산동 343-8 ~ 가산동 481-11
29 가산동 535-155 ~ 가산동 459-5
30 가산동 547-41 ~ 가산동 371-12
31 가산동 557-4 ~ 가산동 356-5
32 가산동 6801 ~ 가산동 505-3
33 가산동 327-18 ~ 가산동 569-21
34 시흥동 911 ~ 시흥동 930-56

 

노원구

연번 구간(주소)
35 광운로2나길
36 한글비석로20길, 덕릉로 83길

 

마포구

연번 구간(주소)
37 고산16길 (대흥동 20-24 ~ 대흥동 22-45)
38 연남로1길 (연남동 564-37 ~ 연남동 567-34)

 

성동구

연번 구간(주소)
39 도선동 35-2 ~ 마장동 470-1
40 행당동 286-3 ~ 행당동 128-22
41 성수동1가 670-27 ~ 성수동1가 656-292

 

종로구

연번 구간(주소)
42 연건동 187-1 ~ 효제동 98
43 효제동 69-7 ~ 효제동 103
44 인사동 232 ~ 종로2가 9
45 종로1가 11-1 ~ 종로2가 25
46 종로2가 23 ~ 인사동 170
47 관훈동 192-13 ~ 견지동 95
48 효자동 25 ~ 효자동 150
49 소격동 73 ~ 재동 12
50 재동 25-4 ~ 재동 109

 

싱크홀은 왜 생기나요?

싱크홀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주로 도심 지역에서는 노후 하수관이나 지하 개발로 인한 지반 침하가 주요 요인입니다.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이나 겨울철 동결·융해 반복에 의해서도 지반이 약해질 수 있어요. 특히 지하에 빈 공간이 있는 상태에서 지표면이 하중을 버티지 못하면 갑작스레 함몰되는 일이 생기게 되죠.

 

서울시의 예방 대책과 한계

서울시는 정기적인 지반 탐사와 도로 굴착공사 전 조사 의무화를 통해 싱크홀을 사전에 방지하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의 한계로 인해 모든 지역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기란 쉽지 않아요. 특히 갑작스럽게 진행되는 민간 공사나 예기치 못한 배수관 파손 등은 여전히 취약점으로 남아 있습니다.

대책 내용
지반 탐사 강화 GPR(지표투과레이더) 등 활용해 위험구간 조기 파악
하수관로 교체 20년 이상 노후 관로 순차 교체 추진

 

시민이 실천할 수 있는 안전수칙

서울시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우리 스스로도 대비가 필요합니다. 길을 걷거나 운전 중에 아래와 같은 수칙을 기억해 주세요.

보도나 도로에 갑작스런 함몰 흔적(균열, 꺼짐 등)이 보이면 즉시 120 신고

비 오는 날은 맨홀 주변이나 우수관 근처 조심

노후 지역 주차 시 가능하면 구조물과 멀리 주차

지하철 공사 현장 근처 통행 시 주의 표시 준수

 

 

자주 묻는 질문(FAQ)

Q 싱크홀은 어느 계절에 가장 많이 발생하나요?

보통 여름 장마철에 집중호우로 인해 토사 유실이 많아지면서 싱크홀 발생 빈도가 높아집니다. 

 
Q 내 주변 싱크홀 위험 여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120 다산콜을 통해 해당 지역의 공사 정보와 지반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Q 싱크홀이 생기기 전 징후가 있나요?

지면이 약간 꺼져 있거나, 갑자기 금이 가있거나, 포장이 울퉁불퉁해지거나, 갑작스러운 물웅덩이 발생 등으로 징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도로 위에 갑작스런 변화가 있다면 바로 신고하세요.

 

Q 싱크홀 사고 시 누구에게 연락해야 하나요?

긴급 상황은 119, 일반 신고는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Q 아이들이 많은 학교 근처도 위험한가요?

학교 주변도 도로 포장이 약하거나 공사가 많은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학부모의 관심과 학교 측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어린이 보호구역이라도 방심은 금물입니다.

 

Q 정부나 지자체 보상은 가능한가요?

공공 책임이 있는 사고일 경우 피해 접수 및 조사를 통해 일정 보상이 가능하며, 민간 피해는 소송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피해 사실은 반드시 기록하고 증거를 남겨두세요.

 

 

이번 서울시 싱크홀 고위험지역 공개는 단순한 뉴스 그 이상이에요. 우리 삶과 직접 연결된 문제이기 때문이죠. 작은 관심과 주의가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것, 잊지 말았으면 해요. 혹시 주변에서 도로 상태가 이상하다 느껴지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꼭 신고하세요. 우리의 안전은 우리 스스로 지켜야 하니까요. 그리고 이 글이 여러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주변 분들과 꼭 공유해 주세요. 함께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가는 데 작지만 큰 힘이 될 거예요.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