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추석엔 특히 조심하세요. 민생회복 소비 쿠폰, 명절 선물 문자로 가장한 보이스피싱이 기승입니다.
안녕하세요! 명절을 앞두고 친척들과 연락을 주고받다 보면 낯선 문자 하나쯤은 무심코 열어보게 되죠. 저도 예전에 추석 연휴 직전에 "택배 배송 오류"라는 문자를 클릭했다가 식은땀을 흘렸던 적이 있어요.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 피해가 평소보다 훨씬 많아지는 시기인 만큼, 이번 글에서는 명절 연휴 스미싱 유형부터 예방 방법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요. 특히 최근 지급되고 있는 민생회복 소비 쿠폰을 노린 피싱 수법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명절 연휴 스미싱 문자 유형 총정리
명절 시즌이 되면 택배, 선물, 쿠폰 등 다양한 핑계를 대며 스미싱 문자가 기승을 부립니다. 대부분의 수법은 ‘클릭 유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특히 이번 추석엔 ‘민생회복 소비 쿠폰’을 사칭한 문자까지 등장했는데요.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을 사칭한 메시지로 피해자가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한 뒤 악성앱을 설치하게 만듭니다.
의심 문자, 이렇게 구분하세요
사칭 대상 | 문자 예시 |
공공기관 | [소비쿠폰 신청 안내] 신청 대상자입니다. 바로 신청 👉 http://abcd.ef.kr |
택배회사 | [ㅇㅇ택배] 추석 연휴 기간 배송 불가. 주소 재확인 바랍니다 👉 http://abcd.ef.kr |
지인 사칭 | 추석 잘 보내세요! 작은 선물입니다 🎁👉 http://abcd.ef.kr |
통신사 | 추석 선물 소액결제 완료, 문의는 👉 http://abcd.ef.kr |
이처럼 URL을 포함하면서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는 99.9% 스미싱입니다. 클릭 유도형 문자는 무조건 의심부터 하세요.
URL이 포함된 문자, 왜 위험한가요?
URL을 누르는 순간, 피해는 시작됩니다. 해당 링크는 보이스피싱 사이트로 연결되거나 자동으로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많아요. 클릭 즉시 개인정보가 탈취되고, 원격 제어 앱이 설치돼 계좌까지 털릴 수 있습니다.
✅ 클릭 후 바로 앱 설치 페이지로 전환되는 경우
✅ 금융 앱을 위장한 가짜 앱 설치 유도
✅ 개인정보 입력 후 계좌 탈취까지 이어짐
앱 설치 전 꼭 확인할 보안 팁
혹시 클릭을 잘못해 앱 설치 화면까지 왔다면, 그 순간 멈추세요. 절대 설치하지 말고 앱 마켓을 닫아야 합니다. 정식 앱 마켓에서만 앱을 내려받는 게 기본이자 최선의 보안 수칙이에요.
항목 | 설명 |
앱 출처 확인 |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만 다운로드 |
설치 전 권한 체크 | 전화, 위치, 저장소 등 과도한 권한 요구 시 의심 |
실행 전 앱 검사 | 보안 앱이나 스마트폰 자체 보안 기능 활용 |
보이스피싱 예방 앱 ‘시티즌코난’ 소개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고 싶다면, 스마트폰에 ‘시티즌코난’을 설치하세요. 이 앱은 경찰청과 인피니그루가 공동 개발해 스미싱 및 악성 앱을 자동 탐지합니다.
📱 시티즌 코난 앱 기능
✅ 실시간 악성 앱 탐지 및 삭제 기능
✅ URL·IP 필터링 및 사기 경고 메시지 발송
✅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설치 가능 (안드로이드 전용)
이미 피해를 입었다면 어떻게 대처할까?
만약 클릭을 누르고 실수로 이체까지 했다면, 지금 바로 은행 또는 112에 전화하세요. 피해 계좌의 지급정지를 요청하면 돈이 빠져나가기 전 막을 수 있어요. 너무 부끄럽다고 미루지 마세요. 1분 1초가 골든타임입니다.
🎯 대처 방법
✅ 은행 고객센터 또는 가까운 지점에 연락
✅ 경찰청 보이스피싱 신고센터 112 즉시 신고
✅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등 보안 앱으로 스마트폰 점검
자주 묻는 질문(FAQ)
예, 특히 URL이 포함되어 있다면 100% 사칭입니다. 공식 기관은 링크를 보내지 않아요.
앱 설치 전이라면 큰 피해는 없지만, 보안 점검은 꼭 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그럴 가능성이 높아요. ‘시티즌코난’ 앱으로 검사를 먼저 진행해보세요.
아이폰은 ‘피싱아이즈’ 앱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iOS는 시티즌코난을 지원하지 않아요.
가족이 직접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상황에 따라 대리 신고도 가능합니다. 우선 경찰과 은행에 연락하세요.
안드로이드의 ‘알 수 없는 앱 설치 금지’, ‘보안 기능 자동 차단’ 설정은 필수입니다.
보이스피싱은 명절에 더 교묘하게 다가옵니다. 따뜻한 인사말 하나에도 의심의 눈초리를 가져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지만, 예방만이 유일한 방어입니다. 오늘 공유한 정보가 여러분의 명절을 조금 더 안전하게 지켜주는 방패가 되었으면 합니다. 주변에도 꼭 알려주세요. 우리 부모님, 친구들, 아이들까지 함께 지켜야 하니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연휴 비상연락망 : 꼭 알아야 할 긴급 전화번호 모음 (0) | 2025.10.05 |
---|---|
서울시 신혼부부 결혼·살림비용 최대 100만원 지원, 신청 조건, 지원 대상, 예외 사항 (0) | 2025.10.03 |
2025년 현대자동차 출고 조회하는 방법, 신차 배송조회, 마이현대 앱, 주의사항 (0) | 2025.10.02 |
조의금과 부의금 차이, 장례식 예절에서 꼭 알아야 할 의미 (0) | 2025.09.30 |
2025년 추석 연휴 10월 3일 ~ 9일, 경기도 문 여는 병원 정보 (0) | 202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