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집값도 걱정인데 세금까지 신경 써야 한다니 좀 벅차죠? 하지만 알고 보면 생각보다 간단해요. 특히 오늘은 한강뷰 같은 고가 주택을 고려하신다면 더더욱 필수로 알아야 하는 정보입니다. 제가 처음 집을 알아볼 때 아무 생각 없이 계약 직전까지 갔다가, 뒤늦게 세금 문제로 후회한 경험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집을 살 때, 보유할 때, 팔 때 각각 어떤 세금이 얼마나 붙는지 아주 현실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목차
1. 집을 살 때 내는 취득세 2. 집을 보유할 때 내는 재산세·종부세 3. 집을 팔 때 내는 양도소득세 4. 생애 최초 구입자 세금 혜택 5. 다주택자라면 주의할 점 6. 세금 준비를 위한 체크리스트
집을 살 때 내는 취득세
취득세는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증여, 상속으로 취득하면 무조건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가격이 크다 보니 단 1%의 세율 차이도 부담이 꽤 큽니다. 취득세와 함께 농어촌 특별세와 지방교육세도 부과되는데요 전용면적이 85㎡ 이하의 집을 취득할 때는 농어촌 특별세가 면제돼요. 세율은 집의 가격, 주택 수, 취득 위치에 따라 달라져요.
구분 | 내용 |
---|---|
1주택 | 지역과 상관없이 가격에 따라 1~3% |
2주택 | 조정대상지역 8%, 비조정지역 1~3% |
3주택 | 조정대상지역 12%, 비조정지역 8% |
4주택 이상 | 12% |
집을 보유할 때 내는 재산세·종부세
매년 6월 1일에 집을 가지고 있으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내야 해요.
재산세는 부동산을 포함한 모든 재산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특히 부동산의 경우, 공시가격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종합부동산세(줄여서 종부세)는 공시가격이 12억 원을 초과하는 고가의 부동산에 매겨지는 세금입니다. 12억 원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며, 과세표준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또한 3주택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반보다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세금 종류 | 과세 기준 | 세율 |
---|---|---|
재산세 | 6,000만원 이하 | 0.1% |
1억5,000만원 이하 | 6만원 + 6,000만원 초과 금액의 0.15% | |
3억원 이하 | 19만 5,000원 + 1억 5,000만원 초과 금액의 0.25% | |
3억원 초과 | 57만원 + 3억원 초과 금액의 0.4% | |
종합부동산세 | 공시가격 12억원 초과 | 과세표준별 차등 |
3억원 이하 | 0.5% | |
6억원 이하 | 0.7% | |
12억원 이하 | 1.0% | |
25억원 이하 | 1.3%, 3주택 이상 2.0% | |
50억원 이하 | 1.5%, 3주택 이상 3.0% | |
94억원 이하 | 2.0%, 3주택 이상 4.0% | |
94억원 초과 | 2.7%, 3주택 이상 5.0% |
집을 팔 때 내는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집을 팔 때 생기는 이익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수익이 클수록 세율도 높아지며, 다주택자의 경우 더욱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세금 종류 | 과세 기준 | 세율 |
---|---|---|
양도소득세 | 1,200만원 이하 | 6% |
5,000만원 이하 | 15% | |
8,800만원 이하 | 24% | |
1억 5,000만원 이하 | 35% | |
3억원 이하 | 38% | |
5억원 이하 | 40% | |
10억원 이하 | 42% | |
10억원 초과 | 45% |
※ 참고 : 1주택자가 2년 이상 보유한 12억 원 이하의 주택을 양도할 경우 양도소득세는 과세되지 않습니다.
생애 최초 구입자 세금 혜택
생애 처음으로 집을 사는 분이라면 꼭 챙겨야 할 혜택이 있습니다. 실거래가 12억 원 이하의 주택을 구입하면 200만 원까지 취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어요. 더 나아가 전용면적 60㎡ 이하, 취득가 6억 원 이하의 비아파트형 소형주택의 경우, 감면 한도가 최대 300만 원까지 확대됩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무조건 챙겨야 할 절세 포인트입니다.
다주택자라면 주의할 점
주택 수 | 취득세 | 종부세 |
---|---|---|
1주택 | 1~3% | 12억 초과 시 과세 |
2주택 | 최대 8% | 세율 증가 |
3주택 이상 | 최대 12% | 세율 더 높음 |
세금 준비를 위한 체크리스트
✅ 계약 전에 취득세 예상금액 계산해 보기
✅ 공시가격 확인하고 보유세 대비하기
✅ 양도차익 발생 시기 및 조건 정리하기
✅ 생애 최초, 1주택자 비과세 조건 충족 여부 체크
자주 묻는 질문(FAQ)
아니요. 보통은 등기 이전 시점에 납부합니다. 취득세는 잔금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하므로 잔금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공시가격에서 12억 원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에 세율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3주택 이상 보유자에게는 중과세율이 적용됩니다.
집을 팔고 잔금을 받은 날 기준으로 다음 달 말까지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기한 내 미신고 시 가산세가 붙어요.
네, 공시가격이 12억 원을 초과하면 납부 대상입니다. 다만, 12억 원까지는 비과세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 가격이 12억 원 이하이고, 본인 명의의 첫 주택일 경우에 200만 원까지 취득세 감면이 가능합니다. 면적과 주택 유형에 따라 최대 300만 원까지 감면될 수도 있어요.
네, 보유 기간이 2년 이상이고, 양도가액이 12억 원 이하인 경우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됩니다. 단, 일시적 2주택자는 조건에 따라 혜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동산 세금, 생각보다 복잡하고 머리 아프죠. 근데 솔직히 말하면, 이런 정보는 미리미리 알아두는 게 진짜 돈 버는 방법이에요. 저도 처음엔 그냥 '에이~ 설마 이렇게까지 낼까?' 했는데, 실제 계약하고 나니까 생각보다 큰돈이 오가더라고요. 오늘 소개한 취득세, 재산세, 양도소득세는 집을 살 때부터 팔 때까지 계속 따라붙는 녀석들이니, 꼭 체크하고 넘어가세요. 부동산 거래, 단순히 가격만 확인하고 계약하면 큰일 납니다. 세금 계산이 빠지면 진짜 손해 볼 수 있어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가지 않아도 된다 ! 서울시의 스마트한 온라인 서비스 활용법 (0) | 2025.03.31 |
---|---|
폐업 앞둔 사장님이라면? 희망리턴패키지 원스톱 폐업지원사업, 최대 400만원 받는 방법 (0) | 2025.03.29 |
생명을 지키는 한 걸음, 119안심콜 등록법 (0) | 2025.03.27 |
여행의 시작은 편안한 이동부터! 스마트하게 공항버스 예매하기(+실시간 공항정보 확인) (0) | 2025.03.27 |
놓치면 손해!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2025 청년지원금 혜택 모음집 (0) | 2025.03.27 |